본문 바로가기
교육/대학입시

26년 수능 출제 기본 방향 영역별 출제 방향

by 함께 알아가요 2025. 3. 28.
728x90
반응형

26년 수능 출제 기본 방향 EBS 연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수능 출제 기본 방향에 대해 발표!


 



★ 교육과정상 매우 중요한 내용
기존 수능에 출제했더라도
또 출제 


EBS 연계율 50% 유지
중요한 개념과 원리 기반으로 재구성
핵심제제, 논지활용
그림, 도표 활용

기본 개념과 원리에 충실
추리, 분석, 종합, 평가등 사고력 측정

★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에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 배제
공교육 범위 내에 적정 변별력 유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출제,
단순 암기보다는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데 중점



1. 국어 영역

 

◎ 어휘 및 개념,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창의적 적용 등
다양한 사고력을 평가하는 데 초점

◎ 독서, 문학,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과목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문과 자료 활용하여 제출

2. 수학 영역



◎ 수학은 단순 암기와 복잡한 계산 문제를
지양하고, 계산, 이해, 추론, 문제 해결력을 평가


3. 영어 영역



◎ 대학에서 필요한 영어 사용 능력을 측정

◎ 기본 어휘와 함께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를 활용하여 출제

◎ 영어 I, 영어 II의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활용 하여 출제

4. 한국사 영역



◎ 한국사는 기본 소양 평가를 목표로
난이도가 평이한 수준에서 핵심 내용을 중심.

◎ 단원별, 시대별로 편중되지 않도록
교육과정의 핵심 내용을 고르게 출제

5. 사회탐구 영역



◎  개념과 원리의 이해 능력뿐만 아니라 
탐구 능력과 문제 해결력도 평가

◎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출제,
시사성이 있는 내용이나
실생활과 관련된 자료등
교과서 이외의 소재나 내용도 포함될 수 있음.

6. 과학탐구 영역



◎ 개념 이해와 적용 능력뿐만 아니라
문제 인식, 가설 설정 능력,
탐구 설계 및 수행, 자료 분석,
결론 도출 및 평가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 단순 암기보다는
문제 상황에 포함된 정보와 자료를 바탕으로
추리하고 분석하며
탐구하는 능력 측정하도록 제출 

7. 직업탐구 영역



◎ 전문 교과Ⅱ 과목을 기반
산업수요 맞춤형(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학생들의 전공 관련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
 

◎ 교과뿐만 아니라
실험, 실습,일상생활, 직장생활 관련 내용이
포함된 지문 및 자료들을 문제 상황의 소재로
재구성해 출제


8. 제2외국어/한문 영역

◎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적 이해를 평가.


◎ 한문은 문법적 이해뿐만 아니라
한문 기록에 담긴 선조들의 지혜와
문화적 이해 전반을 다루는
'한문의 활용' 영역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의
이해와 활용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출제.


💡 총평: 단순 암기보다 ‘사고력’이 핵심!

올해 수능은 단순 암기식 문제 풀이보다
 개념을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


 출제 범위는 교육과정을 준수하지만,
실생활과 연계된 문제
다양한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들이
나올 가능성이 큼!

문해력이 더욱더 중요해지겠음!!!

unseen studio 출처: Unsplash



수험생 여러분, 
남은 기간 동안 개념을 탄탄히 다지고
 문제 해결력을 키우는 데 집중하세요! 💪📚


다들 원하는 목표 이루길 바랍니다.



 파이팅!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