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병아리는 어떻게 딱딱한 껍질을 깨고 나올까?

by 함께 알아가요 2025. 4. 17.
728x90
반응형

병아리 부화 ,병아리는 어떻게 딱딱한 껍질을 깨고 나올까, 난치

 

계란 껍질이 딱딱한데
연약해 보이는 부리로 
어떻게 깨고 나오는지 궁금했다.

ⓒ Jasmin Egger, 출처 unsplash

 

 

🥚 1. 준비는 알 속에서부터 시작된다!


병아리는 부화 직전 며칠 동안
 껍질을 깨고 나올 준비

그중 핵심은 바로 ‘난치(egg tooth)’라는 
작은 뾰족한 돌기

출처: site.ext.vt.edu



병아리의 부리 끝에 일시적으로
생기는 송곳 같은 구조
 부화 후 며칠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떨어짐.

 

💨 2. 공기를 먼저 찾아야 한다!


껍질을 깨기 전에 병아리는 산소가 필요
먼저 알 속의 공기주머니를 향해
부리로 구멍을 냄.
'내부 파열(Internal pipping)’

여기서 처음으로 
외부 공기를 들이마시게 되고,
이때부터 병아리는 본격적인
탈출 시작.

↓ 기실이라고 하는 공기주머니 ↓

출처: cluckin.net

 


🔨 3. 이제 진짜 껍질 깨기! ‘외부 파열’


산소를 확보한 병아리는 
껍질 바깥쪽을 깨기 시작
‘외부 파열(External pipping)’

병아리는 머리를 좌우로 흔들며 
난각치로 껍질 안쪽을 톡톡 두드림.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껍질에 작은 금이 가고,
점점 원형으로 틈을 넓혀감.


이 과정은 몇 시간에서 하루 이상 걸리기도 함. 

출처:animal science

 

🧠 4. 구조적 약점을 노리는 ‘자연의 전략’


사실 계란 껍질은 
외부 압력에는 강하지만,
내부에서 집중적으로 
반복되는 충격에는 약한 구조



단단한 껍질이지만 
병아리는 정확한 지점을 
반복적으로 건드리며 
구조를 무너뜨림.


목과 다리 근육도 
이 시기를 대비해 
알 속에서 점점 강해짐.



🌱 5. 그리고, 생명의 탄생


마침내 껍질이 열리고 
병아리는 세상 밖으로 나옴.

 

출처: nutrena

 

과학이 밝혀낸 놀라운 비밀 🥚🐣

캐나다 맥길대 마크 맥키 교수 연구진은
첨단 기술을 이용해 계란 껍질의 나노구조를 분석


계란 껍데기는 대부분 **탄산칼슘(95%)**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소량의 오스테오폰틴(OPN)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어 껍질의 강도를 조절


가장 바깥 껍질은 입자가 
가장 작고 단단한 나노구조로 되어 있어
 외부 충격에 강하지만,
신기하게도 병아리가 자라는 동안 
안쪽 껍질에서 칼슘과 인 이온이 녹아 나오며 
병아리의 뼈를 만들고 
껍질은 점점 약해지죠.

결국 병아리가 다 자랄 즈음엔 
껍질이 약해져 
쉽게 깨질 수 있게 되는 것!

출처: 한겨레 애니멀피플

 

자연의 정교한 설계라니, 
정말 놀라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