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스톤에서 비트코인
잔액 확인 안 됨!!
키스톤은
하드월렛 (Hardware wallet)
오프라인 기계장치
(인터넷 연결이 안 되어있음
-> 해커의 위험으로부터 안전)
잔액을 알고 싶으면
소프트월렛 (Software wallet)에
연결하면 볼 수 있음.
블루월렛(blue wallet),
넌척월렛(nunchuk wallet)
을 많이 사용함.
난 블루월렛으로 연결했음.
키스톤 블루월렛 연동하기
키스톤 -> 오른쪽 상단 ˙˙˙ ->connect software wallet -> blue wallet ->기기에 QR 코드 나옴. 핸드폰에 blue wallet 앱 열고->오른쪽 + 버튼 누르기-> "import wallet"-> "scan or import a file" -> 키스톤 QR 코드 스캔
ohmylove.tistory.com
사람들이 많이 궁금해하니
자주 묻는 질문에도 나와있음.
나는 행동파!
일단 저지르고 수습하는!
선행동 후공부.
하핫 ^^'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2/large/080.png)
하드월렛 vs 소프트월렛
콜드월렛 vs 핫월렛
🖥 하드 월렛 (Hardware Wallet)
독립된 전자장치를 이용해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하고,
이 키 정보를 장치 내부에 보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는
콜드 지갑(Cold wallet)으로 분류
온라인 해킹 위협을 줄인 구조.
종류: 키스톤, 제이드, 렛져, 디센트 등등
💻 소프트 월렛( Software wallet)
소프트웨어 형태로 제공되는 암호화폐 지갑
스마트폰, PC, 웹에서 사용
인터넷 연결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핫월렛(Hot Wallet)의 한 종류로 분류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의 인터페이스 내에
공개키와 개인키를 모두 저장
해킹 위험이 있음.
❄️ 콜드월렛 (Cold Wallet)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지갑
종류: 종이지갑, 하드월렛, 오프라인 소프트웨어 지갑
🔥 핫월렛 (Hot Wallet)
인터넷에 연결된 지갑
핫월렛 종류
1️⃣ 모바일 월렛 (Mobile Wallet)
스마트폰 앱으로 설치해 사용하는 지갑
QR코드를 스캔해 간편 결제 가능
예시: Trust Wallet, MetaMask, Coinbase Wallet
2️⃣ 데스크톱 월렛 (Desktop Wallet)
PC에 설치하는 암호화폐 지갑
인터넷 연결 시 핫월렛, 오프라인 사용 시 콜드월렛처럼 가능
예시: Electrum, Exodus, Atomic Wallet
3️⃣ 웹 월렛 (Web Wallet)
브라우저에서 바로 접속해 사용하는 지갑
거래소 지갑도 웹 월렛의 한 종류
예시: Binance Wallet, MyEtherWallet, Blockchain.com
4️⃣ 거래소 월렛 (Exchange Wallet)
코인 거래소(바이낸스, 업비트, 코인베이스 등)의 계정 내 지갑
편리하지만, 거래소 해킹 시 자산이 위험할 수 있음
예시: Binance, Upbit, Coinbase
하나씩 알아가보아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28.gif)
'재테크 >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스톤 블루월렛 보내기 send 버튼 없을 때 (0) | 2025.02.06 |
---|---|
키스톤 블루월렛 연동하기 (0) | 2025.02.05 |
FTX 보상 신청 지갑 연결 메일 스캠 주의! (0) | 2025.02.01 |
업비트 미래세대 응원 퀴즈 정답 (1) | 2025.01.25 |
VTHO 비토르토큰 업비트 퀴즈 정답 (0) | 2025.01.25 |
댓글